흰 바람벽이 있어

                                백석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촉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샤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 단 따끈한 감주나 한 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 찬 물에
손은 담그고 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주앉아 대구국을 끓여 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느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아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 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쓰 쨈'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 어휘의 문맥적 의미

바람벽 : 집안의 안벽
때글은 : 오래도록 땀과 때에 절은.
쉬이고 : 잠시 머무르게 하고, 쉬게 하고
앞대 : 평안도를 벗어난 남쪽지방. 멀리 해변가.
개포 : 강이나 내에 바닷물이 드나드는곳
이즈막하야 : 시간이 그리 많이 흐르지 않은, 이슥한 시간이 되어서.

@ 이해와 감상
  백석은 우리 민족의 삶을 표현하는데 민속적이고, 향토적 소재를 많이 사용한 시인이다.  그의 시에서 '감주, 대구국' 등 음식물이 나오는 것은 가난한 시대의 굶주림에 대한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시적 화자는 추운 날 배추를 씻는 늙은 어머니와 아이를 옆에 끼고 지아비와 대구국을 먹는 여성을 흰 바람벽에 떠오른 상상 속에서 대비시키면서 자신의 운명에 체념하고 자기를 위로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화자의 처지와 정황은 매우 슬프다. 가난하고 외롭고 쓸쓸하다고 토로한다. 좁은 방에 누워 희미한 불빛, 서글픈 느낌을 자아내는 방의 차갑고 흰 벽을 쳐다보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을 떠올려 보고 있다. 어렵게 살아가는 늙은 어머니,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이 스쳐 지나간다. 그러나 설령 삶이 힘이 들지라도 좌절하기보다는 여타의 다른 사람들이나 시인들도 그러했듯이 가장 귀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하늘이 낸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현재의 삶을 수용하고 있다. 이 시는 불행한 시대를 살았던 우리 모두의 자화상을 스크린 영상에 담아낸 영상시라는 느낌을 갖게 한다.

@ 핵심 정리
·지은이 : 백석
·성격 : 회고적, 체념적, 성찰적, 사색적

.어조 : 자기 성찰의 담담한 어조

.표현상의 특징

            ①향토적 소재를 활용하여 정서를 표현함

            ②'흰 바람벽'이 마치 영상을 담아내는 영화의 스크린과 같은 기능을 하여 영상시의 느낌을 줌
·제재 : 흰 바람벽
·주제 : 바람벽에 오고가는 외로운 생각들과 시적 화자의 체념 및 자기 위안
           운명에 대한 체념과 자기 위안

@ 시적 상황의 이해

   화자는 좁은 방에서 자신의 가난하고 외롭고 쓸쓸한 처지를 생각하며 멍하니 흰 벽을 바라보고 있다. 그 생각들은 추운 겨울 배추를 씻는 어머니와 사랑하는 여인이 그녀의 지아비와 함께 대구국을 먹는 모습으로 흰 벽에 투영된다. 그러나 화자는 삶이 힘들지라도 좌절하기보다는 여타의 다른 사람들이나 시인들이 그러했듯이 가장 귀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서 살도록 하늘이 낸 것이라 생각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받아들이고 있다.

@ 백석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
  <흰 바람벽이 있어>에서의 시적 화자는 타향 객지에서 골방에 앉아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시에서의 시적 화자는 좁은 방안에서 흰 바람벽을 쳐다보고 있다. 작은 방은 단절되어 있어 '세상'을 인식하게 한다. 유랑에 지친 화자가 잠시 머문 곳에서 흰 바람벽을 보면서 허전함과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다. 이 시의 시적 화자가 흰 바람벽에서 발견한 것은 쓸쓸함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풍경이다. 쓸쓸한 내면에는 만주 유랑 중 '다 낡은 무명샤쯔'처럼 지칠 대로 지쳐버린 절망만이 남아 있다. 시적 화자는 그 바람벽을 보면서 고향의‘가난한 늙은 어머니’와‘내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있다. 위의 두 시는 타향이라는 배경을 통해 가족 등을 떠올리게 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면서 고향 상실과 유랑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고향은 삶의 모태이면서, 삶을 형성하고 미래를 꿈꾸게 하는 공간이다. 그래서 인간의 의식을 지배하는 친숙한 고향을 상실했을 때, 인간은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시인은 세계의 고통과 환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고향을 상실했을 때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는 본능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향은 이념을 초월하는 공간이다. 그곳이 어떤 곳이든 기억되는 세계는 안온하고 아름다운 공간이다. 그래서 고향은 많은 사람들에게 어머니의 태반이나, 어머니 이전의 원형 세계로 자리한다. 그러므로 암울한 시기에 백석이 복원한 '원형적 공간'은 잃어버린 의식이며, 그러한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지향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시대를 견뎌내려는 그의 현실 대응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비극적 현실을 탐색하는 시인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백석 역시 피폐한 고향을 바라보면서 고향이 존재의 출발이면서 뿌리이고, 인간을 지탱하는 중심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백석은 고향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