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모르는 원시인
                               (향기 없는 소년)

                                                                 이광민


                프랑스 도심 한 가운데

                생선 내장을 버리듯
              
                한 여인이 흘려버린 아기



                썩어가는 찌꺼기 위에서
                            
                들숨으로 시작한

                보이는 것이 아닌

                흐르는 것의 근원을 찾아

                맡아내는 일이

                느끼는 일이

                삶의 이유인 아이


               
                생명를 버린 여인은

                단두대의 이슬이 되는 까닭에

                소년에겐 그리운 이가  없다



                생존을 위한 노동도

                외로움의 고통보다 가볍기에

                사람을 신처럼 믿는 맑은 소년



                그를 없신여긴 사람들은

                속임수와 거짓에 대한 보답으로

                생급살[生急煞]을 맞는다.



                삶이 그저 고난이 아닌 새로움인걸

                직감이 경험이 되어버린 영험 가득하나

                설레임의 의미를 모르는 까닭에

                집착으로 빼앗은 생명이 열 셋



                그 고뇌가

                사랑하는 자식을 잃고

                소중한 연인을 빼앗긴 이의

                살아있는 죽음만 할까?

               
                

                향기없는 동물

                나무도

                풀도

                미물도 있는 향기가

                그르누이에겐 없다



                향기를 갖지 못한 남자

                애틋이 봐주는 이 없고

                애달게 지켜볼 이 없기에

                사랑 할 줄 모르던 원시인

                사랑을 아는 문화인은 어디에 있나



* 그르누이 : 파트리크 쥐스킨트 원작 <향수>의 주인공

**********************************************************************


                                            망향탑


                                                                                   이광민

                아버지를 여읜

                슬픔이 마르기도 전에

                삶과 죽음의 두려움을

                여린 마음으로 묶어 두고

                홀로 먼 길을 떠난다.



                아버지의 내음과 같은

                숙부에게서

                서릿발을 받아

                절벽과 강이 감싼

                한 점의 땅에서



                말 할 수 없는

                두려움을 껴안고

                가슴에서 떼어 낸

                돌멩이 쌓으며

                세월을 낚는 홍위




** 홍위는 단종의 이름입니다.

** 단종은 1441(세종23)-(세조3),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이름은 홍위(弘暐). 아버지는 문종이며, 어머니는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權氏), 비는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宋氏)입니다. 1448년(세종30) 8세때에 의정부의 청으로 왕세손에 책봉되고, 1450년 문종이 즉위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 영월 청령포의 망향탑 : 청령포 뒷산 층암절벽 위에 있는 탑. 단종대왕이 유배생활을 할 때 자신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근심속에서 한양에 두고 온 왕비 송씨를 생각하며 여기저기 흘어져 있는 막돌을 주워 쌓아 올렸다는 탑입니다. 단종이 남긴 유일한 유적입니다.

*********************************************************************


                                    부디 (이천 화재 사고를 가슴아파하며)
                                                                
                                                                                            이광민


             해거름이 질 때면 기다리는 이가 있는 소중한 그대

             웃음으로 보내고 기쁨으로 맞이하던 이에게

             한숨이 되고 눈물이 되고 한이 되어버린 그대


             캄캄한 어둠 속 화염에 쌓인 공간

             애절한 절규도 단장의 외침도

             규제와 속임에 싸여 밖으로 뿜어나가지 못했다

          
             혼미함을 떨쳐버리려 달음질쳤을 그대

             설마하는 마음으로 곳곳을 두드리다

             두려움을 벗어버리려 두 눈 부릅떴을 그대


             한 올의 가닥이라도 이어나가길 기도한 가족

             남는 자의 서러움으로 악을 쓰고

             말 없는 이별의 허망함에 오열하는 친지들


             가는 자의  망설임 없이

             남은 이에 대한 미련없이

             그저 평안하게 승천하시길….




************************************************************************

                                
                                     먼동이 틀 무렵

                                                                      이광민


                    아늑하던 공기가 답답하게 느껴진다

                    어둠이 두려워 한 발자국도 나서지 않더니

                    어느새 찾아온 빛을 맞으러

                    밤새 포근하던 온기를 떨쳐버리고

                    해오름의 기운을 반기려 나선다



                    밤을 쉼으로 보내지 않고

                    오래 기억지도 못할 몇 줄의 글에 취한

                    바보같은 어리석음을 뿌듯해하며

                    다가올 졸음과의 전쟁은 무시하고

                    겁없는 걸음을 내딛는다.



                    불빛의 뜨거움은 생각도 못하고

                    빛만 보고 달려드는 나방처럼   

                    거침없이 세상에 뛰어드는

                    만용을

                    언제까지 부리려나




****************************************************************************




                                     거울

                                                        이광민

                  보고싶은 것만 보다가

                  보이는 것조차 보질 못하더니

                  보일 것이 두려워          

                  돌려놓은 세월의 증표



*************************************************************************


  
   心仙 李光民
   한국시낭송가 협회 회원
   시낭송가 합창단  
   백양문학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