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은  하늘에  눈으로  사랑을 말하는  사람이다"

                                                                                                                                    

신은  꽃에게  아름다운  모양과  색체

그리고  향기를  주었지만

영혼과  움직임과  말(언어)는  주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봄에  꽃이피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의  고귀함과, 아름다움

생명의  신비를  알며  꽃과  인간이  하나로  합일된  경지에 이를 때

생명의 근원과 경이로움을  표현하게  됩니다.

 

만약  우리에게 한글, 언어가  없다면  어떠하였을까요?

며칠전 광화문 세종로에  손에책을  들고 시를 낭독하는 장관의 모습을

바라보시는  세종대왕(동상)의  흐믓한  미소를 보았습니다.

 

최고의  경영자나  정치인들이  긴 한숨을 쉬며  남몰래 우는 건

고생하는  민생이 애처러워서기  아니라  자신의 영달과  입신

시를  모르고  문화적  견해가  부실하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시를 읽는 정치인  경제인이  많았으면  합니다.

그래서 몸이 잘사는  나라를 넘어 마음이 잘 사는  나라가 되도록

앞장 서 주셨으면  합니다.

 

문단의 꽃을  피우며 시의 혼을 지펴주는  "한국 시낭송가 협회"

 언어의 숲속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가을보다  더  깊은 맛이 나는   "제7회 시와 음악이 춤추는 밤"

시의 향기에 취해 보십시오.........

 

저희들은  오늘행사를 계기로 허물어진 모국어를  바로하며

메말라가는 우리 마음속에 시가 품고있는 향기를 온 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널리 익히고 보급하여 대한민국의 문화를 한층 더

격조 높게 올리는데 기여 할 것입니다.

                                                                                                                                            2009,11,16

                                                                                                                                                            김문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