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화 상

                                 이 근 배

 

―너는 장학사(張學士)의 외손자요

이학자(李學者)의 손자라

 

머리맡에 얘기책을 쌓아놓고 읽으시던

할머니 안동김씨는

애비, 에미 품에서 떼어다 키우는

똥오줌 못 가리는 손자의 귀에

알아듣지 못하는 말씀을 못박아 주셨다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나라 찾는 일 하겠다고

감옥을 드나들더니 광복이 되어서도

집에는 못 들어오는 아버지와

 

스승 면암(勉庵)의 뒤를 이어

조선 유림을 이끌던 장후재(張厚載)학사의

셋째 딸로 시집와서

지아비 옥바라지에 한숨 마를 날 없는 어머니는

내가 열 살이 되었을 때

겨우 할아버지 댁으로 들어왔다

 

그제서야 처음 얼굴을 보게 된 아버지는

한 해 남짓 뒤에 삼팔선이 터져

바삐 떠난 후 오늘토록 소식이 끊겨있다

 

애비 닮지 말고 사람 좀 되라고

―비례물시(非禮勿視) 하며

비례물청(非禮勿聽) 하며

비례물언(非禮勿言) 하며

비례물동(非禮勿動) 하며......

율곡(栗谷)의「격몽요결(擊蒙要訣)」을

할아버지는 읽히셨으나

 

나는 예아닌 것만 보고

예 아닌 것만 듣고

예 아닌 것만 말하고

예 아닌 짓거리만 하며 살아왔다

 

글자를 읽을 줄도 모르고

붓을 잡을 줄 모르면서

지가 무슨 연벽묵치(硯癖墨癡)라고

벼루돌의 먹때를 씻는 일 따위에나

시간을 헛되이 흘려 버리기도 하면서.

 

그러나 자다가도 문득 깨우고

길을 가다가도 울컥 치솟는 것은

―저 놈은 즈이 애비를 꼭 닮았어 !

할아버지가 자주 하시던 그 꾸지람

 

당신은 속 썩이는 큰아들이 미우셨겠지만

―아니지요 저는 애비가 까마득히

올려다 보이거든요

칭찬보다 오히려 고마운 꾸중을

끝내 따르지 못하고 나는 오늘도

종아리를 걷고 회초리를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