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에 밀리는 우리말





                                                               나은




월드컵 같은 국제적 스포츠 행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중매체인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중요하다. ‘포스트 월드컵’ ‘시너지 효과’ ‘인프라’ ‘세리머니’ 같은 단어들은 우리말로 옮겨 보려는 고민을 거칠 겨를도 없이 어느새 일상 생활속에 파고 들고 있다.



에어로빅, 디스코테크, 패션 쇼 등과 같이 마땅하게 사용할 언어가 없어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차치하더라도 그러나 아직 정착하지 않은 외래어는 순수한 우리말로 바로 사용하는 것이 한국다운 주체성을 갖는 일이다.



예를 들면, A매치→국가간 경기, 골 세리머니→득점 뒤풀이, 글로벌 스탠다드→국제 표준, 내셔널 트러스트→국민 신탁, 내거티브→줄거리, 노블레스 오블리주→지도층의 의무, 멀티플렉스 극장→복합상영관, 모럴 헤저드→도덕적 해이, 서포터스→응원단 또는 후원자, 패널→토론자 등과 같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



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경영하는 기관, 단체에서도 예를 들면 ‘해태’ ‘이유’ ‘각하’같은 일본식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법조계는 이런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래야만 권위가 더 서는 것일까?



이러한 폐단을 간파한 정부는 2005년 말 부터 다행스럽게도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 ‘국어책임관’ 제도를 운영 아직도 덜 순화된 행정용어들을 바른 국어로 안내하고 있다. 국어책임관실에서는 각종 공문서 작성시 덜 순화된 외래어를 비롯하여 어색한 글이나 말 등 딱딱한 문자들을 순화하여 사용하도록 산하 관계기관, 단체에 알리고 있다.